-
해외파생상품 용어정리 가장 많이 쓰이는 4가지Futures 2021. 2. 9. 11:48
해외파생상품 용어정리 가장 많이 쓰이는 7가지
논란의 중심인 미국의 주식시장 , 그리고 해외파생상품 시장 늦게라도 투자를 하기 위해서 들어온 신참 서학개미들에게 GME 숏스퀴즈? 옵션 만기일 ? 등등 경제뉴스를 읽을때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자 오늘은 해외파생상품에 용어들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또한 이글을 읽고나면 파생상품에 대해서 " 아~ 이래서 옵션은 거래가 되는구나 " 대략적인 파생상품에 대한 간단한 이해정도는 가능하게 될것입니다.
1, Long Position 과 Short Position ( 롱 포지션? 숏포지션 ? )
▶ 쉽게말해서 주식이나 해외파생상품을 사거나 파는것 이야기합니다. 롱은 샀다 ( Buy ) 숏은 팔았다.( Sell ) 라는 뜻입니다. 일반적으로 모든 상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가격상승이 일반적인 경우이기때문에 길게 먹어서 롱 반대의 경우에는 짧기 때문에 숏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어원인지는 알쏭달쏭 합니다.2. 기초자산과 파생상품이란?
파생상품은 말그대로 파생된 상품입니다. 이때 기준이 되는 자산들을 기초자산이라고 합니다.
예를들어서 보험이나 쿠폰등이 파생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'치킨'이라는 기초자산을 싸게 살수 있는 쿠폰이 파생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간단하게 이렇게 감을 잡아보시고 파생상품은 기초자산 ( 기초자산의 종류는 정말 많습니다. 금리,통화,환율,채권,주가지수,원자재,농산물,에너지,귀금속,산업금속 등등 ) 을 기반으로 선물 ( Futures ) , 옵션 , 스왑이 가장 대표적인 파생상품들 입니다.3. 선물과 선도란?
선물거래는 현재시점에 계약을합니다. 어떤 계약을 하냐? 미래 특정시점 ( 만기일 이라고합니다. ) 에 특정한 가격으로 물건을 거래하기로하는 계약입니다. 일반적으로 선물거래는 미래에 대한 약속이기 때문에 계약이행이 가능해야합니다. 이를 선물거래소 ( 법적으로 인가받은 )에서 거래하게되며 이를 선물거래 , 장외에서 계약을 하는것을 선도거래라고 합니다. ( 계약 불이행의 위험이 있겠죠? )4. 증거금 ( 마진 - margin )
선물은 롱 포지션을 취하던 , 숏 포지션을 취하던 미래의 계약입니다. 선물거래소에서는 무작정 매도·수 자들에대한 보증을 할수 없기 떄문에 계약이행이 가능하다 라는것을 증명하기위한 일종의 보증금을 계좌에 예탁해 두어야합니다.
처음에 포지션을 진입할때 필요한 증거금을 initail margin ( 개시증거금 , 위탁증거금 ) 이라고합니다.
그리고 선물계약은 시간이 지남에따라서 가격이 오르고 내리게 되는데 이때 거래자의 자산에 일정금액 이상의 잔고를 유지하도록 강제하는데 이 금액을 maintenance magin ( 유지증거금 ) 이라고합니다.
유지증거금 밑으로 평가자산이 하락하게 될경우 증권사에서는 입금하라고 연락이 옵니다. 이때 납부하는 증거금을 추가증거금이라고 합니다. 만약 기일까지 증거금을 납부하지 않게되면 현재 가지고 있는 선물계약이 강제로 청산 ( 반대매매 ) 되게 됩니다.기본적인 구조에대해서 쉽게 이해가 가셨나요? 해외파생상품 용어들 어렵지 않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는 옵션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민족 대명절인 설입니다. 올 한해도 이루고 싶은걸 이루는 한해가 되었으면 합니다.
감사합니다.
'Futur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천연가스와 원유선물 그리고 날씨 공급과 수요의 관계에 대해 (0) 2021.02.15 해외선물 정보 2021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 요인들 4가지 (0) 2021.02.10 캐나다 달러 선물 : '캐딸'의 가격변동 요인 (0) 2021.01.29 크루드오일 차트분석법 #1 (0) 2021.01.28 해외선물 홍콩 항셍지수 오전장에만 변동성이 심한 (0) 2021.01.22